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3)
pp.281~304

DOI : 10.20539/deadong.2023.105.011

주자학의 리理에 대한 새로운 해석 - 서양학계의 최근 연구를 중심으로 -

조성환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

이우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주자학의 리 개념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 때문에 지금까지 다양한 번역어가 제시 되어 왔다. 한국학계에서는 보통 ‘이치’로, 서양학계에서는 ‘질서’나 ‘패턴’ 등으로 번역되었 다. 이에 대해 윌러드 피터슨은 1986년에 쓴 「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 ‘coherence’라 는 번역어를 제시하였다. 그 후, 피터 볼, 스테판 앵글, 브룩 지포린 등이 피터슨의 번역어 를 채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견해를 지지하면서, ‘coherence’의 한글 번역어로 ‘어우러짐’을 사용하였다. 이들의 견해를 참고하면, 주자학에서의 리는 ‘사물이 가치 있는 방식으로 어우러져 있 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가령 의자는 인간이 앉을 수 있다는 가치를 창출하는 형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의자로서의 리가 있다[有理]’고 주희는 말한다. 반대로 의자의 다리가 부러져서 앉을 수 없게 되면 ‘의자로서의 리를 잃었다[失理]”고 말한다. 여기서 ‘실리失理’ 는 의자 자체의 ‘어우러짐’혹은 조화가 깨져서 의자와 인간 사이의 ‘어우러짐’이 상실된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이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주희가 말하는 리는 사물 자체의 구조뿐만 아니라 사물과 인간의 관계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리는 사실과 행위, 객관과 주관의 두 차 원에 모두 걸쳐있다. 따라서 리는 사물의 원리나 자연의 패턴뿐만 아니라 그것을 인식하고 실현하는 인간의 행위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리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는 주자학에서 최고의 경지로 제시되는 인(仁) 개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주희는 인(仁)을 “심지덕 (心之德) 애지리(愛之理)”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에서 ‘애지리(愛之理)’는 사랑의 감정이 자연스럽게 발현되어 대상과 어우러지는 상태까지 함축하고 있다. 다시 말해 ‘사랑의 감정이 발현되는 사실’의 차원과 ‘사랑하는 대상과 어우러지는 행위’의 차원을 포괄하고 있다. 이처 럼 주자학에서 리는 사실과 행위가 어우러져서 어떤 가치를 창출하는 상태를 지칭하는 개 념이다. 이러한 이해는 주자학의 ‘리’를 단순히 ‘이치’로 번역하는 우리 학계에 새로운 시각 을 열어주리라 기대된다.

The New Understanding of Li理 in Neo-Confucianism - Focused on Recent Western Studies -

Jo, Sung-Hwan

Lee, Woo-Jin

The concept of ‘Li理’ in Neo-Confucianism is not easy to translate. So various translations have been suggested up to now. In Korea, it’s usually translated as ‘이치’(Ich’i), while in the West, it’s been translated as ‘order’ or ‘pattern.’ However, in his 1986 article “Another Look at Li,” Willard Peterson proposed ‘coherence’ as the English translation for Li. Afterward, Peter Bol, Stephen Angle, and Brook Ziporyn adopted Peterson’s translation. In this paper, while supporting their views, ‘어우러짐’(Ŏurŏjim) was used as the Korean translation for ‘coherence’. Referring to their perspectives, in Neo-Confucianism, Li can be defined as “the state where things fit together in a harmonious and valuable manner.” For instance, when a chair maintains the form that generates the value of allowing a person to sit, it is said to possess Li as a chair. Conversely, if the legs of a chair break, making it impossible to sit on, it is said to have “lost its Li as a chair.” Here, ‘失理’(Shilli, loss of Li) can be understood as a state where the harmony within the chair itself is disrupted, leading to the loss of the harmony between the chair and the human.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at Li in Neo-Confucianism encompasses not only the structure of an object itself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humans. It spans both the dimensions of fact and actio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Therefore, Li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not only the principles of objects or patterns in nature but also the actions of humans in perceiving and realizing them. This understanding of Li applies well to the concept of ‘仁(ren)’, which is presented as the highest virtue in Neo-Confucianism. Zhu Xi defines ‘ren’ as “心之德, 愛之理”, mind/heart’s virtue and love’s coherence. Here, “愛之理 (aizhili)” pertains to the dimension of action, signifying the manifestation of love’s emotions and harmonizing with the object. In this manner, in Neo-Confucianism, Li refers to the state where facts and actions harmonize, creating certain values.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