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3)
pp.33~62

DOI : 10.20539/deadong.2023.104.002

칼 융의 동시성 이론과 『주역』

구미숙

(창원대학교 철학과 강사)

이 글은 분석심리학의 창시자인 칼 구스타프 융이 근대 자연과학의 토대가 되는 인과율 과 동등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한 동시성 이론의 의미와 『주역』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융은 1920년대 초에 『역경』을 독일어로 번역한 리하르트 빌헬름을 만났을 때 이미 20년 이상 점술에 몰두해 있었다. 그는 『역경』의 점술 경험에서 ‘묻고자 하는 상황과 대응되는 괘 사이에 우연을 넘는 일치가 있음’을 알고 빌헬름의 추모제(1930)에서 처음으로 이 규 칙성에 ‘동시성적 원리’라고 이름을 붙였다. 융은 「역경 서문」(1948)에서 동전점으로 『역경』의 동시성 사례를 보여준다. 그 결과, 융은 자신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심리적 상태 와 미묘한 기분을 『역경』은 매우 깊은 통찰과 탁월한 직관력으로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을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규칙성이 인과율에 대응되는 하나의 원리가 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깊은 사색이 필요하였다. 긴 숙고 끝에 그는 양자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의 지지와 협력을 얻어 「동시성에 대하여」(1951)와 「동시성: 무인 과적 연결원리」(1952)를 발표하였다. 이 저서에서 “동시성은 지금까지의 과학적 지식으로 는 미진하여 공통 원리로 환원할 수 없는 심리적 사건과 심리-물리적 사건 사이의 시간과 의미의 병행론을 가리킨다.” 융에 따르면 동시성 현상이 일어나는 배경에는 정신과 물질 너머에 정신도 물질도 아닌 하나의 세계 ‘우누스 문두스(unus mundus)가 있으며 근대 자 연과학 이전 연금술, 점성술 등의 세계관인 상응 우주가 그 기반이 된다. 그리고 동시성 현상은 태고적부터 현대까지 수없이 반복되어갈 인류의 근원적 행동유형이며 두드러진 누 미노제적 성격을 지닌 원형(原型, Archetype)과 관계되며, 시간과 공간을 넘어선 무의식 의 선험적 앎인 절대지에 의해 앎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심리 적 상황의 주관성과 1회 성으로 끝나는 동시성 현상의 특성 때문에 동시성 이론을 보편적 학문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려는 융의 시도는 그다지 성공한 것 같지 않다.

Carl Jung’s Theory of Synchronicity and I Ching

Ku, Mi-Suk

This thesis is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ynchronicity and I Ching in the work Carl Gustav jung, the founder of analytical psychology. Jung had already been engaged in fortune-telling for more than 20 years when he met Richard Wilhelm, who translated I Ching into German in the early 1920s. He first named this regularity the “synchronity principle” in Wilhelm’s memorial service (1930), knowing that “there is a coincidence between the situation to be asked and the corresponding rule” from his experience in fortune telling. Jung shows an example of the simultaneity of I Ching as a coin point in “foreword of I Ching”(1948). As a result, Jung is said to accurately show the situation he is in with very deep insight and excellent intuition about the psychological state and subtle mood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in his words. However, it took a long time of deep contemplation to determine whether this regularity could be a principle corresponding to the causality. After much consideration, he published “About Synchronicity” (1951) and “Synchronicity: Principles of Unmanned Connectivity” (1952) with the support and cooperation of the quantum physicist Wolfgang Pauli. Jung defines it here as “simultaneity refers to the parallelism of time and meaning between psychological and psychological events that cannot be reduced to common principles due to lack of scientific knowledge so far.” According to Jung, the background of the synchronicity phenomenon is the unus mundus, a world beyond the mind and matter, and the corresponding universe, a worldview of alchemy and astrology before modern natural science, is the basis. In addition, synchronicity is a fundamental behavior type of mankind that will be repeated countless times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and is related to the archetype with a prominent numinous character, and knowledge can occur by absolute knowledge, a apriori knowledge of the unconscious beyond time and space. Despite these findings, Jung’s attempt to bring the theory of concurrency into the realm of universal disciplines does not seem to have been very successful due to the subjectivity of the psychological situation and the nature of the synchronicity phenomenon that ends with one-off.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